dmswl
[데이터드리븐 서비스기획 6일차] Figma 본문
1️⃣ 피그마 인터페이스 이해
- 왼쪽 바, 오른쪽 바 : 패널
ex) Layer 패널, Assets 패널, Design 패널, ... - Fixel preview : 실제 사용자가 체험하는 화면 확인할 때
- Move > Section : 강의안 슬라이드 -> 강의안 하나 = Section 1
1. Layer 패널 속성 명칭
- 구역 설정
Section - 컨테이너 요소 : 묶어주는 용도
- Auto Layout
- Frame
- Group
- 재사용 가능 요소 : 일관성 유지, 나중에 효율적인 작업에 도움
- Component
- Instance
- 콘텐츠 요소
- Text, Shape, Image, Video
2. Assets 패널
component 만들어서 Assets 패널에서 언제든 꺼내 쓸 수 있다.
3. Design 패널
내가 선택한 개체의 디자인을 바꿀 수 있음. 가장 많이 사용할 패널
아무것도 클릭하지 않으면 스타일 관련해서 일관성 유지
4. Prototype 패널
(2일차)
5. Dev mod (shift+D)
Ready for dev : 협업자에게 확인하려는 슬라이드 지정, 상단 가장 오른쪽 아이콘 클릭
2️⃣ 피그마 기본 기능의 이해
1. 프레임의 정의
아이폰, 갤럭시 안드로이드 폰과 같은 기기, 혹은 웹사이트 디자인시 화면의 크기를 지정할 경우, 프레임을 사용하여 그 안에 디자인을 진행함.
2. 프레임 중첩 사용의 이해
프레임 내 프레임 삽입(중첩)
- 프레임에 다양한 기능을 적용함으로서 ~
3. 프레임 생성 방법
단축키 F
반응형 디자인
소비자가 가로로 화면을 회전했을 때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까
Frame 클릭 후 Desingn 패널 -> clip content: 실제 프로토타입에서 볼 수 있는 화면
Constrain Proportion : 비율 고정
지금은 약간 둥글기를 주는 유행
별 각도 : 안쪽 뾰족 각도 <
4. 컬러와 텍스트
1) 색상 모델 종류
HEX, HSB, HSL, CSS, RGB (CMIK 없음) 5가지 색상 모델 제공
색상 모델 간 전환은 Figma가 색상을 설명하는 용도이지, 랜더링 x
Cntrl + D : 복사 양식 저장되어있음.
Text : Design 미트볼 버튼 -> 말줄임표 이용하는게 제일 베스트! 👍
한글, 영어 몇글자까지 보일지도 다 기획함.
3️⃣ 피그마 협업 & 문서화
- 피그마는 협업 툴 많이
- 표지, 목차, 간지, 내지
1. 코멘트
상단 말풍선 아이콘,
메일 - 10분내
실제 기업에서는 커뮤니케이션 툴 피그마에 임포트해서 사용함
2. 문서화
1. 표지
2. 목차
3. 간지
내지 중간중간 끼어있는 표지?느낌
4. 내지
1) 개요⭐
두괄적 제시
예시)
https://www.figma.com/community/file/832911648132248625
Spotify Ways of Working | Figma Community
We're excited to open up the music box and describe how we've shaped Figma to suit our needs and culture at Spotify. We hope this information will be useful for other design teams seeking more organisation for their work in Figma.
www.figma.com
1) 버전 관리
- 관리 방법: (추천👍)
파일 단위, 페이지 단위
- 관리 안하는거:
버전 히스토리 관리
파일 클릭 -> Version History > + > Add history
2) 썸네일
- 썸네일 지정
썸네일 할 템플릿 > 우측 버튼 클릭 > Set as thumnail
n버튼 : 다음 프레임?
shift + n 버튼 : 이전 프레임?
기준 방향 : 가장 왼쪽 시작점 & 위->아래
간지 기준으로 줄 바꿈.
💻 실습
오늘 만든 화면 설계
스크롤은 아직 구현 못했다... 🤔
오른쪽이 실제 캡쳐화면, 왼쪽이 내가 구현한 화면이다
'서비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 기획 10일차] 클론 디자인 발표, 사용자 경험 UX 디자인 (0) | 2023.12.01 |
---|---|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 기획 9일차] 클론 디자인 (1) | 2023.11.30 |
[데이터드리븐 서비스 기획 7일차] Figma (1) | 2023.11.28 |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2일차] Design Thinking (0) | 2023.11.21 |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 기획] 1일차. UXUI 디자인의 이해 (1) | 2023.11.20 |